부산항에 도입되는 전기 야드트랙. 부산항만공사부산항에 국내 기술로 제작된 전기 야드트랙터(Y/T)가 처음으로 투입되며 항만 무탄소 전환 사업이 본격화된다.
부산항만공사(BPA)는 25일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추진 중인 항만 무탄소화 전환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부산항 신항에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BPA는 지난 7월부터 신항 4부두에서 시범 운행을 통해 성능,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 충전 효율 등을 다각도로 검증해왔다.
전기 야드트랙터는 기존 경유 장비와 달리 온실가스 배출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BPA는 이 같은 성능 평가 결과를 토대로 내달 12일 신항 4부두에서 부두 운영사 및 관련 업계를 초청해 설명회를 열고, 도입 사업자 공모 절차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공모에서는 터미널 운영사가 경유 또는 LNG 연료 장비를 전기 야드트랙터로 교체할 경우, 장비 전환 비용의 50%를 지원받을 수 있다. 국비 25%와 BPA 지원 25%가 합쳐진 형태다. 신청은 오는 19일부터 가능하다.
송상근 BPA 사장은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의 현장 신뢰성을 확보했다는 점이 이번 시험 운행의 가장 큰 성과"라며 "많은 운영사가 전환 사업에 참여해 부산항의 하역 장비 무탄소화를 앞당기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