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후 4시 민주노총 부산본부가 부산시청 광장에서 총파업대회를 열었다. 정혜린 기자 민주노총 부산본부가 반노동정책 폐기와 노조법 2·3조 즉각 개정을 촉구하며 총파업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는 16일 오후 4시 부산시청 광장에서 총파업대회를 열고 "모든 노동자의 노동기본권을 보장하고, 윤석열 정권이 남긴 반노동 정책을 청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김재남 부산본부장은 "새 정부가 노동자와 함께 갈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윤석열 정권 당시 실시했던 회계 공시와 타임오프 개입 등 반노동정책들을 폐기하는 것"이라며 "지금까지 반노동정책 폐기를 주저하고 있는 정부를 강력하게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노사정 협의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이야기는 그만 하고, 지금 당장 노조법 2·3조를 개정해야 한다"며 "이는 더 이상의 죽음을 막을 수 있는 필수적인 조치이자 860만 명의 특수고용 플랫폼 노동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라고 강조했다.
16일 오후 4시 민주노총 부산본부가 부산시청 광장에서 총파업대회를 열었다. 정혜린 기자민주노총은 노조법 2·3조의 즉각 개정(노란봉투법)과 윤석열 정부의 반노동 정책의 전면 폐기, 노정교섭을 요구하고 있다. 노란봉투법은 간접고용 노동자의 교섭권을 보장하고, 쟁의행위 탄압 목적의 손해배상과 가압류를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민주노총은 정부에 노정교섭을 촉구하고 있으며, 요구가 반영되지 않을 경우 투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번 총파업대회에는 공공운수노조 부산본부와 건설노조 부울경본부, 마트노조 부산본부 등이 참석했다. 총파업대회에 참여한 노조원들은 국민의힘 청산과 노동악법 철폐를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한 뒤, 부산시청 주변을 행진했다.
이날 민주노총은 서울과 부산 등 12곳에서 전국적으로 총파업대회를 열었다. 수도권 1만 명, 전국 3만 명이 이번 총파업대회에 참가한 것으로 추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