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검색
  • 0
닫기

부산 시민들 "고리1호기 해체 환영"…남은 과제는?

0

- +

고리1호기 해체 승인에 부산 시민들 "옳은 결정"
해체 산업으로 인한 지역 경제 발전 기대감
사용후핵연료 반출, 2호기 계속 운전 여부 등 과제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송호재 기자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송호재 기자국내 최초 원자력발전소인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1호기 해체가 최종 승인되자 부산 시민들은 환영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원전 해체 산업 발달로 지역 발전에 대한 기대가 나오는 한편, 사용후핵연료 등 풀어야 할 과제도 여전하다.
 
26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리1호기 해체 승인안을 의결했다. 이로써 고리1호기는 영구정지 8년 만에 공식 해체 절차에 돌입하게 됐다.
 
해체가 최종 승인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다음날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만난 시민들은 대체로 결정에 환영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갈치시장 상인 조모(45·남)씨는 "고리1호기를 해체하기로 한 건 옳은 결정이라고 본다"며 "노후화된 것을 보수해서 가동하면 나중에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가동을 그만해야 할 시기가 왔으면 해체를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구 주민 백모(74·여)씨 역시 "해체 결정이 난 만큼 앞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해체됐으면 좋겠다"면서, "부산 전체를 봐도 그렇지만, 특히 인근 주민들은 불안을 안고 살아야 한다. 정해진 사용 기한이 다 됐으니 노후화된 설비는 하루빨리 해체해야 한다"며 힘주어 말했다.
 
국내 최초로 이뤄지는 원전 해체 관련 산업 발전에 대한 기대감도 높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1호기 해체가 국내 해체기술 내재화와 전문인력 양성, 산업 생태계 조성의 전환점이 될 거라고 전망한다. 또 향후 글로벌 원전 해체산업 시장 진출도 기대한다.

특히 부산 기장군 일대는 원전 해체 관련 대규모 자본과 인력 투입이 예상된다. 지난해 12월 기장군에 원전해체산업의 종합적인 연구를 담당하는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이 개원하기도 해, 이 지역이 원전 해체 산업 육성의 구심점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지난 18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정문 앞에서 '고리2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이 열렸다. 탈핵부산시민행동 제공 지난 18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정문 앞에서 '고리2호기 폐쇄 촉구 기자회견'이 열렸다. 탈핵부산시민행동 제공 다만 안전한 원전 해체까지는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도 아직 많다.

우선 고리1호기에 남은 사용후핵연료를 안전하게 반출하는 게 관건이다. 현재 사용후핵연료는 원전 내부 수조 형태의 습식 저장소에 보관 중이다. 한수원은 이를 꺼내 육지에 새로 만든 건식저장시설로 옮겨 저장한다는 계획이다. 고리원전 부지에 건식저장시설을 짓는 작업은 지난 2023년 한수원 이사회에서 의결한 뒤 진행되고 있다. 이 작업이 늦어지면 해체도 더디게 진행될 수밖에 없다.

또 1호기와 인접한 2호기를 계속 가동할지 여부도 결정해야 한다. 2호기 계속 운전 여부는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여전히 심사 중인 상태다. 환경단체들은 1호기와 2호기가 설비를 공유하고 시설이 붙어 있는 만큼 안전을 위해 함께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한수원은 인접 호기에 영향이 없다고 반박한다. 실제로 전날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에서도 "2호기 계속 운전 여부를 심사 중인 상황에서 1호기 해체 여부를 정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는 위원 지적이 나왔다. 이에 대해 한수원 측은 "해체는 인접 호기에 영향이 없으며, 늦어질수록 비용이 늘 수 있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해체 과정에 주민 의견을 수렴할 방안 마련 등도 과제다. 관련법상 해체계획서를 작성하는 과정에는 주민 공청회를 열게 돼 있지만, 실제로 작업에 착수한 이후에는 의견을 수렴할 절차가 없다. 부산환경운동연합 박상현 사무처장은 "앞서 진행한 원전 해체계획서 공람도 단 한 차례만 진행했고, 주민들에게 해체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 적도 없다"며 "해체 과정에서도 위험한 물질이 나오는 만큼 주민 안전을 위해 계속 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