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공회의소 제공조기대선 시계가 빠르게 돌아가자 부산상공회의소도 산업은행 본사의 부산이전을 위한 화력 지피기에 나섰다.
부산상공회의소는 7일 오후 상의홀에서 (사)미래사회를준비하는시민공감과 공동으로 '한국산업은행 본사 부산 이전 전국 권역별 합동 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산업은행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국회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하고,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의 출발점이라는 전국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부산상의가 주도한 한국산업은행법 개정 촉구 국민동의청원은 목표인 5만 명을 조기 달성해 지난달 5일 정무위원회에 회부됐다.
이날 행사에는 부산을 비롯한 영남, 호남, 충청, 제주 등 전국 각 지역 시민사회단체 대표와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토론회는 권역별 시민단체 대표의 공동성명서 서명 및 낭독, 안권욱 지방분권경남연대 공동대표의 주제 발표와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권역별 대표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2차 공공기관 이전의 첫 출발점은 산업은행 본사 부산 이전이라고 명확히 선언하며 산업은행 본점의 소재지를 서울에서 부산으로 변경하는 한국산업은행법 개정안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했다.
또, 이번 이전이 부산을 넘어 국가 전체의 균형 발전과 지역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안권욱 지방분권경남연대 공동대표도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지방위기를 극복할 전략적 차원에서 단순히 부산만의 문제가 아닌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국가적 과제인 만큼 전국 시민사회의 연대와 참여가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대한민국은 수도권 일극체제로 인해 지방은 소멸의 위기에, 수도권은 과밀화로 고통받고 있다"면서,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한국산업은행을 비롯한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함께 공론화시키고, 조속한 추진을 정부와 정치권에 강력하게 요청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부산상의는 이번 토론회를 시작으로 전국 시민사회와의 협력을 확대하는 등 한국산업은행 부산 이전과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더욱 넓혀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