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검색
  • 0
닫기

"쓰레기도 자원이다" 부산시, 순환경제 정책 추진

0

- +

제13차 부산미래혁신회의에서 '자원 재활용 메카도시, 부산 먼저 순환경제로' 정책 발표
폐기물의 자원 회수와 산업화를 통한 순환경제 실현 방안 추진

부산시는 29일 부산환경공단에서 '제13차 부산미래혁신회의'를 개최하고 순환경제 정책을 논의했다. 부산시 제공부산시는 29일 부산환경공단에서 '제13차 부산미래혁신회의'를 개최하고 순환경제 정책을 논의했다. 부산시 제공부산시가 자원 재활용을 바탕으로 하는 순환경제 실현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부산시는 29일 오전 부산환경공단 소회의실에서 제13차 부산미래혁신회의를 열고 글로벌 허브도시로서 자원순환 분야를 선도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했다.

시는 2030년부터 가연성 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시행됨에 따라 쓰레기를 '처분'의 개념에서 '자원'의 개념으로 전환하는 차원에서 이번 정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자원 재활용 메카도시, 부산 먼저 순환경제로'라는 슬로건을 내 건 이 정책은 폐자원의 에너지 회수와 음식물류 폐기물의 전량 자원화, 재활용 자원 산업화 육성을 통해 10개 사 이상 기업 유치와 1천명 신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고 시는 덧붙였다.

정책은 △종량제봉투 선별체계 고도화 및 자원화 △음식물류 폐기물 전량 자원화 △폐기물 자원화 산업 육성 등을 큰 틀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7개 중점 과제로 구성했다.

먼저, 종량제봉투 선별체계 고도화 및 자원화를 위해 각 시설 폐열 회수 및 에너지 생산율을 제고하고, 자원순환 복합타운을 조성하기로 했다.

음식물류 폐기물 전량 자원화 정책은 폐기물 무선인식(RFID) 감량기 설치 확대와 공공처리 100% 달성 및 바이오가스 생산 증대를 핵심 과제로 삼았다.      

폐기물 자원화 산업 육성을 위해 공공 재활용 선별체계를 고도화하고 재활용 연구개발 및 사업화 전 과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순환경제 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 밖에 자원순환복합타운 조성과 연계한 수소가스 생산, 플라스마 방식의 폐자원 발전시설 검토, 폐기물의 철저한 분리배출과 선별 고도기술 개발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시는 이날 제안된 의견들을 검토한 뒤 정책에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은 폐기물 자원 회수와 산업화를 통해 순환경제 사회로 한 단계 도약할 준비가 충분히 돼 있다"며 "부산이 경쟁력 있는 탄소중립 도시, 자원 재활용 중심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