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북항 자성대부두.해양수산부와 한국허치슨터미널이 재계약 여부를 두고 줄다리기를 계속하고 있다(자료사진)
부산항 물동량의 10%를 담당하는 부산항 북항 자성대부두 운영사 재계약 여부를 두고 해양수산부와 한국허치슨터미널(HKT)의 줄다리기가 계속되고 있다.
해수부는 지난 10월 15일까지 허치슨터미널측에 2가지 조건을 제시하며 수용여부를 판단해 달라고 사실상 '최후통첩'을 던졌으나 허치슨측은 '수용불가' 입장으로 맞섰다.
해수부는 허치슨터미널측에 내년 6월로 계약이 만료되는 자성대 부두 재계약의 대가로 허치슨에 2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2가지 조건은 현재 허치슨터미널측이 임대중인 태국 람차방 터미널 2개 선석 임대와 연간 임대료 500만달러를 부담하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외국인 투자회사에 해수부가 갑질을 일삼는다는 지적이 제기됐으나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를 '정당한 딜(deal)'이라고 밝혔다.
허치슨터미널이 부산 북항에서 터미널을 운영하며 수익을 챙기고 있는 만큼 충분히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허치슨터미널측은 태국 터미널을 임대하는 것은 태국 정부와 협의가 먼저 이루어 져야 하고,임대료 500만달러를 부담하는 것은 실정법을 위반하는 것이어서 수용불가 입장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터미널 운영권 재계약과 외국터미널 임대와 임대료 부담은 전혀 상관관계가 없는 만큼 해수부가 무리한 요구를 한다는 것이 허치슨터미널측의 입장이다.
이처럼 해수부와 허치슨터미널측의 팽팽한 줄다리기는 10월 15일을 기준으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으나 북항 통합논의가 시작되면서 자성대부두 재계약 문제가 다시 거론됐다.
부산항만공사(BPA)가 부산 북항 3개터미널의 통합논의를 시작하자,해수부는 허치슨을 제외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BPA가 허치슨을 제외하면 통합 논의가 무의미하다며 해수부를 설득했고,결국 해수부가 허치슨을 포함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처럼 북항 통합논의의 장에 허치슨터미널이 포함된 것을 두고 지역에서는 해수부의 입장이 다소 누그러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해수부가 허치슨터미널에 요구한 기존 방침에서 한발짝 물러선게 아닌가하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물론 BPA고위관계자는 "해수부가 입장을 바꿨는지 우리로선 알수가 없는 일"이라고 밝혔으나 기존입장에서 후퇴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허치슨터미널 관계자는 "10월 15일 마지막으로 입장을 전한 이후 해수부와 재계약 문제를 논의한 적은 없다.시간이 계속 흘러 답답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해수부는 내년 6월까지 북항 터미널 운영사를 통합을 이루어내겠다고 공언한 상태인데다,허치슨터미널과 재계약 '딜(deal)'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판단을 하고 있어 조만간 자성대부두 재계약은 새로운 국면을 맞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또 해수부가 자성대 재계약 문제를 두고 6개월이상 지리한 시간끌기를 하면서 물동량과 근로자 고용안정 측면에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