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의 치어방류행사(자료사진)
우리나라 연근해어업에서 어린물고기 마구잡이 조업이이 심각,어획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등 어자원고갈이 현실화 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5일 현안연구 보고서 제9호에서 '어린물고기 남획실태와 보호 정책연구'를 공개했다.
KMI 연구자료를 보면,우리나라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2016년 90.8만 톤으로 44년 만에 100만 톤을 하회하는 저조한 기록을 나타냈다.
또 2017년에도 92.7만 톤으로 2년 연속 100만 톤을 아래로 떨어져 앞으로 100만 톤 아래에서 계속 정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생산량 급감의 위기의 주된 이유는 어린물고기 남획에 따른 수산자원의 고갈을 들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명태 새끼인 '노가리'를 들었다.
명태 새끼인 노가리의 어획량은 1970년부터 허용되면서 어획량이 급증했고,1976년에는 전체 명태 어획량의 약 94%가 노가리로 채워졌다.1981년에는 약 17만 톤에 육박했다.
하지만 2008년 생산량은 '0'으로 집계되는 등 자원고갈이 급속도로 진행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근해어업에서 어린물고기의 무분별한 남획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남획은 수산 자원 고갈을 심화시키고,자원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생산량 상위를 차지하거나 상업적 가치가 높은 어종의 어린물고기 남획이 만연되고 있다.
최근 저인망과 안강망 어업에서 어획하는 갈치 중 약 70% 이상,자망과 안강망 어업에서 어획하는 참조기는 각각 약 50% 이상과 약 90% 이상,그리고 대형선망 어업에서 어획하는 고등어의 약 40% 이상을 어린물고기가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어린물고기 남획은 어린물고기를 생사료로 사용 하는 수요와 어업제도 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어류양식에서 어린물고기를 주 원료로 하는 생사료의 사용량은 2011년 약 41만 톤에서 2017년 약 50만 톤까지 증가했다.
문제는 어린물고기의 남획으로 인해 성어로 성장,식용의 고가 수산물로 판매가 가능한 고기가 생사료 등 비식용의 저급품으로 헐값에 팔린다는 것이다.
통계청 조사 결과,우리나라에서는 넙치 1kg을 양식하는 데에 약 5.5kg의 생사료가 필요한데,이것은 넙치 치어를 출하 크 기인 1.5kg의 성어 3마리로 키우기까지 생사료 24.75kg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달리 우리나라 고등어 시장에서 경합하는 노르웨이는 일찍부터 어린물고기 보호 속에 씨알 굵은 고등어를 수출하는 나라로 유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는 계속 어린물고기 보호를 위한 자원관리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즉,오래 전에 도입된 30cm의 금지체장을 기반으로 어린물고기의 혼획을 줄여나가기 위해 혼획비율 기준 초과 시 어장 이동을 의무화하고 사전적 혼획 저감을 위한 장치의 개발과 보급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어린물고기 남획의 요인은 생사료의 수요 이외에도 제도적, 어법의 문제도 지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고등어 포획금지체장은 노르웨이와 달리 21cm로 되어 있는 등 미성어 어획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해야한다는 지적이다.
또 우리나라도 단순히 수산자원보호를 넘어 수산물에 대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린 물고기 보호정책의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연근해어업을 실현하기위한 정책방안으로 판매장소 지정과 불법어획물 거래 통제, 어린물고기 남획 수요와 유인의 억제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KMI 이정삼 수산연구본부 어업자원연구실 실장은 "남획형 어업의 축소와 선택적 어업으로의 전환, 포획·채취 금지체장의 실효성 제고, 실시간 조업금지와 휴어의 실시, 혼획 저감 연구·개발 확대 등 어린물고기 보호를 위한 보다 강력한 관리방안이 요구된다."고 밝혔다.